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인가구 병원 가는 길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by 온라인쌤 2025. 6. 14.
반응형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안내

병원 가는 길, 혼자 걱정하지 마세요

목차
1.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란?
2. 누가 이용할 수 있나요?
3. 어떤 상황에서 도움이 되나요?
4. 서비스 운영시간은?
5. 신청 방법은?
6. 언제 신청해야 하나요?
7. 이용요금은 얼마인가요?
8. 결제 방법은?
9. 얼마나 자주 이용할 수 있나요?
10.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꼭 알아두세요.

병원안심동행서비스

 

1.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란?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는 병원에 혼자 가기 어려운 시민을 위해 출발부터 진료, 수납, 약국, 귀가까지 전 과정에 동행매니저가 함께하는 서비스입니다.
마치 가족처럼 동행하여 병원 이용을 도와주는 공공형 동행 돌봄 서비스입니다.

※ 단, 자동차는 제공되지 않으며 버스, 지하철, 택시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동행합니다.
※ 병원은 서울시 소재 병원에 한해 지원됩니다.

2. 누가 이용할 수 있나요?

  • 1인가구 시민
  • 다인가구이지만 병원 동행이 필요한 경우
  •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없어도 실거주 중이라면 가능
    예) 직장인, 대학생, 장기 임대 거주자 등

서울시에 살고 있다면 주소지 제한 없이 누구나 이용 가능합니다.

3. 어떤 상황에서 도움이 되나요?

  • 휠체어는 탈 수 있지만, 병원까지 혼자 가기 어려운 경우
  • 보호자가 출근, 출장 등으로 병원 동행이 어려운 경우
  • 건강검진(수면내시경 등) 후 보호자가 필요한 경우
  • 정기 투석, 암 치료, 재활 치료 등 반복적인 병원 이용 시

※ 단, 스스로 휠체어 착석이 불가능하거나 자차 이동이 필요한 경우는 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4. 서비스 운영시간은?

  • 평일: 오전 7시 ~ 오후 8시
  • 주말: 오전 9시 ~ 오후 6시 (사전예약자에 한함)

5. 신청 방법은?  지금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서울시복지재단 홈페이지를 클릭해 보세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https://www.welfare.seoul.kr/web/main/index.do

 

공식사이트바로가기

 

① 전화 신청

  • 서울시 병원안심동행 콜센터 ☎ 1533-1179

② 온라인 신청

  • 홈페이지: https://1in.seoul.go.kr
  • 신청하기 → 개인정보 및 서비스 요청사항 기재 → 접수 완료

6. 언제 신청해야 하나요?

  • 사전예약: 최대 일주일 전부터 신청 가능
  • 당일신청: 3시간 이내 요청 장소로 출동
    ※ 단, 모든 동행매니저가 출동 중인 경우 지연되거나 불가할 수 있습니다.

7. 이용요금은 얼마인가요?

  • 기본요금: 시간당 5,000원
  • 30분 초과 시: 2,500원 추가 요금
  • 요금 산정은 동행매니저가 도착한 시점부터 시작
  • 교통비(버스, 택시 등)는 이용자 부담

서울시 중위소득 100% 이하 시민연간 48회 무료 이용 가능
→ 신청 전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수급자 증명서, 차상위 증명서 등을 제출해야 무료 혜택이 적용됩니다.

8. 결제 방법은?

  • 현장 결제 방식으로
    • 계좌이체
    • 카드결제 (단말기 보유 시 가능)
    • 모바일결제 (휴대폰 결제)

9. 얼마나 자주 이용할 수 있나요?

  • 월 10회, 연간 200시간 한도
  • 무료 이용자(중위소득 100% 이하*는 연간 최대 48회 무료

※ 유료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전체 이용 횟수 제한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10.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꼭 알아두세요.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는 가족이 없거나 보호자를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병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따뜻한 공공서비스입니다.
출발부터 귀가까지 보호자처럼 함께하는 이 서비스는 혼자 병원을 가야 할 때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정기진료, 수술 등 병원 이용을 앞두고 있다면, 지금 바로 신청해 보세요.
문의는 1533-1179번, 온라인 신청은 서울시 병원안심동행 누리집을 통해 가능합니다.

 

서울시 1인가구지원센터 26개소 정리

번호 자치구 센터명
1 강남구 강남구 1인가구 커뮤니티센터 STAY.G
2 강동구 강동구 1인가구지원센터
3 강북구 강북구 1인가구지원센터
4 강서구 강서구 1인가구지원센터
5 관악구 관악구 1인가구지원센터
6 광진구 광진구 1인가구지원센터 1센터
7 광진구 광진구 1인가구지원센터 2센터
8 구로구 구로구 1인가구지원센터
9 금천구 금천구 1인가구지원센터
10 노원구 노원구 1인가구지원센터
11 도봉구 도봉구 1인가구지원센터
12 동대문구 동대문구 1인가구지원센터
13 동작구 동작구 1인가구지원센터
14 마포구 마포구 1인가구지원센터
15 서대문구 서대문구 1인가구지원센터
16 서초구 서초 1인가구지원센터
17 성동구 성동구 1인가구지원센터
18 성북구 성북구 1인가구지원센터
19 송파구 송파구 1인가구지원센터
20 양천구 양천구 1인가구지원센터
21 영등포구 영등포구 1인가구지원센터
22 용산구 용산구 1인가구지원센터
23 은평구 은평구 1인가구지원센터
24 종로구 종로구 1인가구지원센터 (종로복지재단)
25 중구 중구 1인가구지원센터
26 중랑구 중랑구 1인가구지원센터

 

서울시 1인가구 특별대책이란?

서울시 1인가구 특별대책은 ‘맞춤’, ‘융합’, ‘공감’이라는 3대 원칙을 바탕으로, 1인가구의 일상 속 불안을 해소하고 삶의 안정을 돕는 정책입니다.

특히 1인가구가 가장 크게 겪는 어려움을 중심으로 4대 분야를 설정하여 집중 지원합니다.

  • 건강
  • 범죄
  • 고립
  • 주거

이 네 가지 영역을 아우르는 다양한 정책들을 통해 1인가구가 사회적 고립에서 벗어나 건강하고 안정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입니다.

비전: 혼자여도 OK, 함께니까 OK

서울시는 1인가구가 더 이상 소외되지 않고, 누구와도 비교되지 않는 ‘완전한 사회구성원’으로서 함께 살아가는 도시를 만들고자 합니다.

이 비전은 단순한 보호가 아닌, 1인가구가 능동적으로 사회에 참여하고 연대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정책 목표

서울시의 정책은 다음과 같은 목표를 지향합니다.

  • 1인가구의 삶의 질 향상
  • 불안 요인의 해소와 예방
  • 안전하고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
  • 1인가구의 사회적 고립 해소 및 공동체 소속감 회복

이를 통해 1인가구도 함께 살아가는 사회의 일원으로 당당하게 존중받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1인가구는 단순히 숫자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새로운 기준이자 흐름입니다. 서울시는 ‘1인가구 안심특별시’를 통해 모두가 안전하고 행복한 도시를 꿈꿉니다.

혼자여도 외롭지 않은 서울, 함께여서 더 따뜻한 서울을 위해, 이 정책은 계속해서 확대·강화될 것입니다.

앞으로 1인가구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정책 소식도 함께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계속해서 관심 있게 지켜봐 주세요.

반응형